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체인스티치
- 기본 자수
- 에바와 리노
- 카카오뱅크 체크카드 비밀번호 변경
- 쉬운 베이킹
- 병아리콩
- 손뜨개
- 카카오뱅크 체크카드
- 긴뜨기
- 자수 기법
- 뜨개질
- 고양이
- 국세청 홈텍스
- 코바늘 기초
- 코바늘 기호
- 베이킹
- 에바와리노
- 코바늘뜨기
- 기본 스티치
- 코바늘
- 냥이
- 체인 스티치
- 수세미청
- 리시안셔스
- 밥반찬
- 프랑스 자수
- 기본 자수 기법
- 크로쉐
- 백스티치
- 코바늘 뜨기
- Today
- Total
목록자수 기법 (13)
Eva & Rino : 에바와 리노
기본 스티치인 헤링본 스티치를 테두리 안에 채워 넣는 기법 인터레이스드 헤링본 스티치 Interlaced Herringbone Stitch. 해외 자수 사진들 보면 이 기법으로 주로 잠자리 날개 같은거나 자잘한 네트를 표현 할 때 많이들 사용하는 걸 봤다. 백스티치로 테두리를 만들어 준 뒤 그 안을 헤링본 스티치로 매꿔주는 기법. 시작합니당! 밑그림을 백스티치로 테두리를 만들어준다. 왼쪽 첫번째 백스티치의 중간으로 실을 꺼내어준 뒤 오른쪽 두번째 스티치를 통과해준다. 백스티치에 바늘이 걸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빨간색 - 초록색 - 파란색의 순서로 실을 통과해준다. 왼쪽 첫번째 스티치는 테두리 안쪽, 오른쪽 두번째 스티치를 테두리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관통 후 오른쪽 첫번째 스티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통과해..
기본 스티치인 헤링본 스티치의 응용법, 헤링본 래더 필링 스티치 Herringbone Ladder Filling Stitch를 해보겠음. 이름이 너무 길어... 하... 헤링본 스티치와 래더 스티치의 결합같은 느낌. 새롭고 면적 채우기에 좋은 스티치라서 소개함. 시작합니당. 헤링본 래더 필링 스티치 Herringbone Ladder Filling Stitch 평행한 선을 두 줄 그려준 뒤 윗 줄부터 시작. 오른쪽에서 시작하는 러닝 스티치를 해준다. 1-2-3 순서로 러닝스티치 시작. 4-5 순서로 러닝 스티치 윗줄의 러닝 스티치를 마무리 실을 자르지 말고 그대로 6-7-8의 순서로 왼쪽부터 러닝 스티치를 해준다. 아랫줄 러닝 스티치 마무리 러닝스티치로 빈칸을 매꾸며 되돌아간다. 9의 위치로 바늘을 뒤에서..
요놈이 우리 나랏말로 뭐라 부르는지 도통 감이 안온다. 흑 ;ㅅ; 블링킷 스티치로 나뭇잎을 만드는건데 영어로는 Blanket Stitch : Leaf 이렇게 표기가 되어 있어서 내 맘대로 블링킷 리프 스티치. 패디드 리프 스티치랑 조금 느낌이 비슷한데 밑그림 아웃라인을 잡아줘서 더 깔끔한 느낌. 일반 리프 스티치랑도 사뭇 다른 느낌. 잎의 겉면에 따로 아웃라인 스티치를 해주지 않아도 굉장히 깔끔한 잎이 표현 되어 좋은 기본 자수 응용이다. 시작합니당! 블링킷 리프 스티치 Blanket Stitch : Leaf 잎의 하단 부분에서 시작 1의 위치로 천 뒤에서 앞으로 실을 빼내준다. 1의 위치 바로 옆을 2의 위치로 잡고 2에서 3으로 바늘을 꽂아준다. 3 위치의 바늘 뒤로 실을 감아준 뒤 바늘을 빼준다. ..
거의 모든 모양에 사용 할 수 있는 기본 스티치 버든 스티치 Burden Stitch. 가끔 꽃잎이나 나뭇잎 채우기 하다가 귀찮으면 버든 스티치로 대---충 채울 때도 있음. ㅋ 그만큼 쉽고 간단하게 면적을 채울 수 있는 기법. 버든 스티치 Burden Stitch 시작합니당! 버든 스티치를 할 면에 세로로 수를 놓는다. 세로로 수를 놓은 도안의 중간에 가로로 세로 실을 한칸씩 건너며 스트레이트 스티치를 해줌. 아랫줄은 첫줄의 반대로 건너며 수를 놓음. 완성된 버든 스티치 Burden Stitch. 사진만 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 :) 즐거운 자수라이프 즐겨보아요!
내가 좋아하는 기법 중 하나. 체인 스티치 : 헝가리안 브레이디드 Chain Stitch : Hungarian Braided. 체인 스티치의 응용 기법 중 하나이며 고급스럽고 두꺼운 선을 표현하기 좋은 기법이다. 시작합니당! 기준선에 한땀을 떠준다. 1로 바늘을 꺼내어 첫번째 땀을 통과해 체인 스티치를 만들어준다. 체인 스티치 A라 하겠다. 2로 바늘을 꺼내준다. 첫번째 땀을 통과해 체인 스티치를 만들어준다. 체인 스티치 B라 하겠다. 첫번째 땀에 두개의 체인 스티치를 만들어준 뒤 3의 위치로 바늘을 꺼내준다. 체인 스티치 A 뒤로 바늘을 통과시킨 후 빼내준다. 체인 스티치 A를 통과해서 체인 스티치 C를 만들어준다. 3의 위치에 체인 스티치를 만들어준 뒤 4의 위치로 바늘을 꺼내준다. 체인 스티치 D라..
오늘의 기본 스티치 쉐브론 스티치 Chevron Stitch. 테두리를 마무리 할 때 많이 사용했던 기본 자수 기법 중 하나이다. 굉장히 쉽고 유용하며 넓은 면적에 수놓기 좋은 기법 중 하나. 시작합니다! 두줄의 평행한 선을 준비 아랫 쪽 선 위 1의 위치로 실을 꺼내준다. 1의 위치로 실을 꺼내준 뒤 2로 바늘을 넣어 1과 2 사이 중간 지점인 3으로 바늘을 꺼내준다. 4로 바늘을 넣어 5의 위치로 바늘을 꺼내준다. 5의 위치로 실을 꺼내준 뒤 6으로 바늘을 넣어 4의 위치로 바늘을 꺼내준다. 7의 위치로 바늘을 넣어 8로 꺼내준다. 8의 위치로 실을 꺼내준 뒤 9로 바늘을 넣어 7로 바늘을 빼준다. 위의 과정을 원하는 길이만큼 해주면 쉐브론 스티치 Chevron Stitch 완성! 한땀의 길이를 일정..
과연 이 녀석을 페더 스티치의 응용이라 해야 할까, 체인 스티치의 응용이라 해야 할까 무지 고민함... 시작을 체인 스티치로 하니까 체인 스티치의 응용이라고 결론. ㅋ 페더 스티치 끝에 체인이 달린 모양인데 만드는 과정도 재밌고 쉽다.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기본 스티치 응용. 체인드 페더 스티치 Chained Feather Stitch. 시작합니당!! 기둥이 될 선의 두께를 조절해서 그린 후 1의 위치로 실을 빼낸 후 바늘을 1에서 2로 꽂아둔 뒤 사진처럼 2의 바늘 뒤쪽으로 실을 걸어준다. (1에서 시작하는 체인스티치를 만들어 줌) 체인스티치를 걸어둔 뒤 바늘을 3에서 4로 바늘을 꽂아 실을 빼준다. 4에서 3으로 바늘을 꽂아둔 뒤 3의 바늘 뒤로 실을 걸어서 바늘을 빼준다. (4에서 시작하는 체..
체인 스티치는 여러가지 응용 기법이 있는데 개인적으로 이 기법, 체인스티치 : 헤비 Chain Stitch : Heavy 아주 많이 좋아한다. 꼭 그거 같아. 보리. 굵은 선을 표현 할 때 유용한 기법. 체인스티치 : 헤비. 시작해 봅시당. 중심선을 그려준 후 그 위 한땀을 떠준다. 1의 위치로 바늘을 뒤에서 앞으로 빼준다. 스트레이트 스티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바늘을 빼내 체인스티치를 해준다. 바늘을 2의 위치로 빼준 뒤 위의 과정을 반복해준다. 두겹의 체인스티치를 해준 뒤 3의 위치로 실을 뺴준다. 4의 위치로 바늘을 넣어 두겹의 체인스티치 뒤로 통과해준다. 5의 뒤로 실을 통과시켜 체인스티치를 해준다. 위의 과정을 반족해준다. 완성된 체인스티치 : 헤비. 머리를 땋은 것 같은 표현도 되고 두꺼운 선..
기본 스티치인 체인 스티치를 베이스로 한 자수, 체인스티치 : 크레스티드 Chain stitch : Crested. Crest는 물결치는, 파도치는 이란 뜻으로 물결치는 모양같은 스티치 표현.... 이라고 하고 싶지만 그냥, 난 모르겠다;;;; 도대체 이 자수의 어디가 물결치는 모양이라는건지. 하하하하하하. 이 자수 기법도 넓은 면적을 채우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시작해 봅시다. 물결치는 자수 기법;;; 체인 스티치 : 크레스티드 Chain Stitch : Crested. 준비, 시작. 오른쪽에 체인스티치 한땀을 준비한다. 체인스티치의 마무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을 1의 위치로 실을 놓고 1 의 실 위로 2를 올려준다. 1의 실 아래로 바늘을 통화해서 3의 위치에 바늘을 넣고 4의 위치로..
오늘의 기본 스티치, 바스크 스티치 Basque Stitch. 바스크 스티치는 넓은 면적을 채우는 표현에 사용되거나 가장자리 장식으로 많이 사용 되는 기본 스티치임. 오늘도 가봅니다, 설렁설렁 기본 스티치. 1에서 시작한 스티치를 2로 넣어서 3으로 바늘을 빼지말고 고정해 둠. 바늘귀 뒤로 실을 감아 A에 걸리게 한 후 바늘침 뒤로 B에 실이 걸리게 감아서 바늘을 빼준다. 4로 바늘을 넣어 천의 뒤로 빼준다. 4는 물방울 모양 바로 아래의 위치에 잡아준다. 2에 최대한 가깝게 2의 앞쪽으로 바늘을 빼준다. 2와 5의 간격은 1과 2의 간격만큼 5와 6의 간격은 2와 3의 간격만큼 되도록 주의한다. 바스크 스티치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오른쪽 끝의 원단 뒤로 바늘을 집어넣어 마무리한다. 잎맥을 표현 할 때..